이제 윈도우 7 RTM이 눈앞에 보이는 이 마당에...
그래도 실험정신이 강하신 분이나 혹은 RTM은 정식이므로 공개적으로 사용하긴 뭐하고 해서 그냥 아랫버전으로 리테일 판매되는 시기까지 사용해 보려는 분들도 계실 듯하여, 또 32bit는 거의 완벽에 가깝게 한글화가 되었는데, 64bit도 가능하지 않을까 싶어 7229(x64)버전에 한글 MUI설치한후 한글소스만 추출해 봤습니다.
※ 단, 영문버전 설치하신 후 드라이버 업데이트는 먼저 다 끝내신 다음 임시한글 패치를 하시는 게 좋을 듯합니다.
역시 x86과 x64는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Program Files폴더와 Program Files (x86)폴더 이렇게 두 개가 존재하는 x64는 이 두개의 폴더와 windows폴더내의 SysWOW64폴더까지 패치를 해야만 정상적으로 모두 패치가 이뤄지는 걸로 보입니다.
그리고, x86에선 Program Files폴더가 x64에선 Program Files (x86)로 사용됩니다.
x64에서 Program Files폴더는 64bit용 프로그램이 설치되는 폴더입니다.
패치방법은 x86패치법과 동일합니다.
한글소스 7229(x64)
패치 툴은 여기서 http://soohan02.tistory.com/10 (soohan님 블로그)받으시고, 관리자모드로 실행하신 후 소스경로 설정 후 패치 누르시면 됩니다.(패치할 곳이 윈도우 7이 설치된 곳으로 기본 C드라이브로 패치가 됩니다. 윈도우가 설치된 곳이 C드라이브인지 확인하세요)

패치가 끝나면, 레지병합을 해 주시면 됩니다.
다음 파일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 줍니다.
도움말 관련 레지 파일도 병합해 주시고, 재부팅 하시면 됩니다.
도움말 관련 레지병합시 병합이 안될 경우 해당 레지파일을 메모장으로 열어서 해당 경로로 이동한 후 해당레지폴더의 권한을 허용해 주면 병합이 이뤄집니다.
도움말을 제대로 사용하려면, 도움말 실행 후 우측 하단의 온라인 도움말 부분을 오프라인 도움말로 바꾸고 사용하시면 됩니다.
※ 7229(x64) 한글소스 및 레지파일은 직접 추출 했으며, 소스패치툴과 cmd파일은 수한님의 것을 사용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좋은정보네요. 저는 32bit 귀찮아서 그냥 영문으로... 빨리 정식한글판 나왔으면 좋겠어요. 행복한 한주 되세요.
답글삭제@솔이아빠 - 2009/06/22 08:17
답글삭제솔이 아버님도 행복한 한주 되세요.^^
한글패치 하기 전에 윈도우 드라이버 업데이트는 먼저 해두시라고 적어두시면 좋을 것 같아요 ^^
답글삭제trackback from: 윈도우 7 임시 한글화 패치
답글삭제제가 지난번에 소개해드린 방법대로 하시면 되는데 저는 도움말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사실 도움말 안쓰기 때문에 별로 관심도 없구요. 한글판 나올때까지 어설프더라도 7077에 들어있는 한글파일들로 임시패치해서 사용해보실 분들은 한번 해보세요. 일단 파일 추출해서 올려드리겠습니다. 32비트 x86 kor.part01.rar x86 kor.part02.rar x86 kor.part03.rar 64비트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32비트는 잘되는데 6..
@snoopy - 2009/06/23 17:09
답글삭제와우! 영광입니다.
스누피님이 보잘 것 없는 제 블로그를 다 들러주시고,
또 조언까지...
네 잘 알겠습니다.
그 부분은 제가 미처 생각지 못했군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