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 6월 16일 화요일

윈도우 7 7232 64bit 한글화 하기...

이제 이 글은 참고만 해 주시고, 여기에 있는

글을 참조해서 패치하시면 됩니다.^^

http://tomal.textcube.com/23

 

이건 제가 삽질해서 얼렁뚱땅 한글화 시켜

버린 것입니다.ㅎㅎ

 

전 영문판도 좋지만, 왠지 한글이 더 정겹고,

OS사용할 때도 편하고, 그래서 언제나 한글판

아니면, 설치자체를 자제하는 편입니다.

 

다른 분들은 영문판이 가볍다, 더 낫다, 굳이

한글판 사용해야 할 이유가 있느냐 등등...

많은 이유를 들어서 한글판 선호하는 사람들을 터부시(?) 하기도 합니다. 그래도 한글이 눈에 익고 좋은 걸 어떡합니까... 개인 취향으로 생각하시고들 나무라지 말아 주세요.^^

 

본론으로 돌아와서... 그런대도 굳이 7232영문버전을 설치한 데는 VHD에 관한 정보를 공부했으니 한번 적용해 보려는 생각에서 출발한 것이죠. 근데, 확실히 영문판 딱 깔아놓고 보니 답답한 느낌^^;(영어가 딸리는 것도 있지만, 왠지 싫어!!!) 그래서, 부랴부랴 고수님들의 블로그 눈팅으로 살펴서 다른 버전의 한글부분을 카피하여 덮어씌우기를 시도해 봤습니다.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하므로, 제가 한 방법은 무작정(무식이 용감하다?) 수완님의 블로그 http://soohan02.tistory.com/11 에서 소스추출 툴 받아서 무작정 정식 설치되어 있는 윈도우 7 7229버전의 Ko-kr 폴더등을 추출 7232버전에 덮어씌우기를 용감히 감행했습니다. 결과는??? ㅎㅎ 역시 진행도중 에러가 뜨더군요.(스누피님 말씀인 즉 DVD원본으로 복구시도해서 덮어씌워야 제대로 된다는군요) 두번 시도하다가 포기하고, 재부팅 해보니 ㅎㅎ 익스 8과 몇군데가 한글로 바뀌어 진 것을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순간적으로 스치는 생각... 7229설치된 system32\ko-kr폴더를 통째로 복사해서 7232에다가 덮어씌워보자 였습니다. 몇개는 이미 카피가 되어 있는 상태라 안된다고 나오더군요. 그렇게 덮어씌우고, 재부팅...

 

짜잔 로그오프부터 한글로 나오더군요.^^ 성공했습니다.

모로가나 바로가나???$%@ 서울만 가면 장땡이다? 완전 무대뽀식의 한글화였습니다.

이젠 프로그램 이거 저거 설치해 봐야 겠습니다.^^

댓글 2개:

  1. 글 잘 봤습니다. 참고해서 저도 해볼려구요~



    질문이 있는데요. 위와 같이 한글패치 한 후에 업데이트나 기타 프로그램 문제 같은건 없나요? 7260버전에선 레지스트리 수정으로 잘 안되는 부분 바꾼다고 하는 것 같은데요.. 64비트인 7232버전에서의 에러발생 부분은 제가 잘 못찾는 건지 아무리 뒤져봐도 내용을 찾지 못해서요..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글삭제
  2. 네. 저 같은 경우엔 특별한 문제점은 찾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이 글은 32비트에서 추출한 한글 소스를 64비트에 적용한 사례입니다. 아무래도 100% 확신할 순 없는 부분이기도 하구요. 물론 한가지 문제점이 한글화 후에 한글 2007 설치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여 한동안 삽질하다가 다시 지우고 재 설치 후 다시 처음부터 패치 후 한글 설치하니 제대로 작동하더군요.



    그리고, 방금전에 글 하나 올렸는데, 거기에 7229(x64)에서 추출한 한글소스도 올렸습니다. 그걸 이용하면, 64비트도 32비트처럼 손쉽게 패치가 가능할 듯합니다.



    드라이버 업데이트, 가젯, 도움말(온라인 도움말은 안되더군요. 이 현상은 7229정상적으로 MUI설치한 버전도 마찬가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