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식 MUI팩을 구할 수 없거나 영문 사용이 난감(?)해 질 때...
이전버전(한글팩 적용버전)의 한글소스를 추출하여 패치하는 임시적인 방법이 있죠.
한글 적용이 가능한 최신버전은 7264버전입니다. 그러나 해당 버전이 아니면 MUI는 설치할 수 없기에 이미 설치되어져 있는 7264(한글팩적용)에서 한글소스만 추출하여 7600에 옷입혀주는 방법이죠.
이전에 VHD로 설치했던 7264버전에서 추출한 소스를 이용해 패치를 해 봤습니다.
그리고 이전 방법대로 레지병합 해 주고 재부팅 하니 한글적용이 잘 되더군요.
그런데...

이렇게 시스템 복원탭은 한글화가 되지 않았더군요.
제가 뭘 잘못했나 싶어서 삽질(?)을 좀 해 봤지만, 모르겠더군요. 그 때 스누피님 블로그에 7600한글화 글이 올라왔었던 게 기억나 스누피님 블로그에서 파일 받아서 재패치를 했더니...ㅋㅋ 제대로 나오더군요.
혹시 몰라서 두개의 차잇점을 살펴보았습니다. 약간의 차이가 있더군요.


x86 kor이 제가 추출했던 소스, 7264_x86이 스누피님이 추출했던 소스입니다.
제가 추출하는 과정에서 뭔가 실수를 했지 싶습니다.
아무튼 이번 7600.16385버전을 테스트 해 보면서 최종이 될지 아니면, 또 다른 상위버전이 나올지 모르지만(24일 MSDN에 공개된다니 1주일 정도 남았군요) 지금으로서도 충분히 호평받는 OS가 될 것이라는 생각엔 변함이 없습니다.
비스타때처럼 초기 불안한 상태의 출시모습은 아닐 듯싶습니다. MS에서도 비스타때의 전철을 밟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듯합니다. 어쩌면 비운의 비스타 덕분에 7이 더 진가를 발휘하는 건 아닌가 싶기도 하구요.
trackback from: Windows 7 RTM 마지막 빌드는 7600.16385!
답글삭제출처:WZorNet,gosugoon.com,snoopy 드디어 RTM 빌드가 결정되었습니다. 처음 출처는 WZor. 분명 Microsoft에서 가져온 것일테지만요. 이제 WZor 원문을 보시겠습니다. 펼쳐두기.. 18.07.09 WINDOWS7 AND WINDOWS SERVER 2008 R2 IS SIGN-OFF GOLD RTM !!! Сегодня (18 июля 2009 года) утром по Москве (в США был вечер 17..
trackback from: 윈도우7 RTM 한국어 버전이 풀렸습니다.
답글삭제정확히 말하면, 한국어 버전이 아닌 다국어 버전입니다. 총 5개국어 버전이 통합된 것인데.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2종류 입니다. 파일명은 7600.16385.090713-1255_x86_&_x64fre_ENTERPRISE_Langpacks_EN_JP_KR_CN_TW_DVD.ISO 로 배포되고 있으며. 파일명에서 볼수 있듯이 7600,16385 입니다. 하지만 통합버전이다 보니 용량이 생각보다 크군요.